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알아두면 좋을 것들32

소득세금 관련 총정리(연말정산 및 종합소득세 신고 원리 이해하기) 이번 글에서는 그동안 기록했던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신고 원리에 대해 총정리해두려고 한다. 우리는 세금을 내야한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의무다. 바로 납세의 의무. 의무를 다하지 않으면 불법이고, 페널티를 받는다. 그럼 언제, 어떤 세금을 낼까? 우리가 살면서 내는, 혹은 내게 될 세금에는 상당히 다양한 종류가 있다. 크게 국세, 그리고 지방세가 있다. 국세와 지방세의 차이 (세금의 종류 및 기초 정보 알아보기)세금에 대해 공부하는 첫 단계로 세금의 종류와 기초 정보 및 국세와 지방세의 차이에 대해 기록해 본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인생을 살면서 반드시 해야 할 것들이 있다. 무조건 해야만 하는write-down1.tistory.com 이처럼 여러가지 세금이 있지만, 우리가 우선 친해져야 할 세금은 바.. 2024. 5. 16.
종합소득세 계산과정 이해하기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해 공부하다 보니 여기까지 와버렸다. 종합소득세가 어떻게 산출되는지 그 과정을 따라가 보며 이해해보려 한다. 반복해서 내용을 보다보니 종합소득과 굉장히 친해졌다. 종합소득은 6가지 유형의 소득들을 합친 것을 의미한다. 내가 작년 한 해 동안 근로 소득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소득도 있었다면, 그 모든 소득들을 합산(종합소득)해서 그에 대해 적절한 세금을 정산해야 한다. 그 7가지 과정을 살펴보고 이해하자. 0. 사실 1번이 종합소득을 구하는 것인데, 이 1번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내가 직장 외에서 벌어들이는 돈을 소득 유형에 따라 미리 구분해 놓는 게 편하다. 예를 들어, 내가 부업을 뛰어서 돈을 벌었을 때, 그게 기타 소득에 속하는지, 사업소득에 속하는지 소득이 발생했을 때 파악.. 2024. 5. 13.
연말정산, 종합소득세 신고 공제 항목 이전 글들을 통해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신고의 뜻과 차이점도 알아봤고, 세금 계산 과정에서 알아두어야 할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뜻과 원리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그럼 이제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신고를 앞두고 있는 우리가 실질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은, 우리가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이 뭔지 알아보는 것이다. 꾸준히 언급하는 것처럼, 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환급금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최대한 본인이 해당하는 공제내역을 찾고 공제를 받아내야만 한다. 처음에는 당연히 머리 아프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항목들을 찬찬히 확인하면 그리 어렵지 않다. 또, 한번 해두면, 그 후는 해당 항목에 변화가 있는지, 추가로 내 상황이 다른 항목에 적용가능한지만 확인해 주면 된다. 그러니 처음할때 잘해두어야.. 2024. 5. 13.
이직자와 퇴사자의 연말정산 과다공제 주의 앞서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신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이직했거나, 퇴사한 후 연말정산,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하는 경우 주의할 점 중 한가지인 과다공제에 대한 글을 기록해 본다. 과다 공제란?과다공제다. 말 그대로, 많이 공제를 받았다는 말이다. 원래 받아야 할 공제보다 공제를 더 많이 받은 경우를 뜻한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 연말정산 혹은 종합소득세 신고 당시 공제항목을 제출할 때 실수를 했기 때문이다. 어떤 실수일까. 우선 연말정산 시 우리가 받을 수 있는 공제 항목들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리가 일을 할 때(근로 제공 기간)에 쓴 돈만 공제대상으로 인정해 주는 항목이 있고, 근로제공 기간과 상관없이 그 해 쓴 돈이면 다 공제대상으로 인정해주는 항목들이 있다. 그런데 만.. 2024. 5.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