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알아두면 좋을 것들25

직장인 종합소득세 신고 3가지 경우 (근로소득 이외 소득, 퇴사 및 이직, 경정청구) 이전 글에서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신고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차이점을 기록했다. 근로소득만 있는 보통의 직장인이라면, 연말정산만 하면 된다. 그런데, 직장인이더라도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그 케이스에 대해 기록해 봤다. 회사를 다니는 직장인이 연말 정산 외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하는 대표적인 3가지 경우가 있다.1. 근로소득 이외 소득이 있는 경우 1) 직장에서 번 돈 이외 부업이나 개인 사업으로 인한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부동산 임대 소득도 포함)2) 300만원 이상의 '기타 소득'이 있는 경우3) 2,000만원 초과하는 '금융소득'(이자+배당 소득)이 있는 경우4) 1,200만원 이상의 '사적연금소득'이 있는 경우2. 중도퇴사자 / 이직자1) 중도퇴사자 : 작년 퇴사 이후.. 2024. 5. 5.
세금 3.3% 와 8.8% 차이점 (사업소득 기타소득 세율) 소득세에 대해 알아가다 보니, 자연스레 3.3%와 8.8%를 만나게 됐다. 기타 소득과 사업소득의 세율이다. 숫자만 보면 차이가 상당히 나기에, 더 깊이 알고 싶다. 먼저, 기타소득부터 알아보자. 기타소득 세율 8.8% (feat. 22%) 기타소득의 기본세율 = 소득세 20% + 지방소득세2%(소득세의 10% 이므로 2%) = 22% 다. 기타소득의 기본세율이 22%인데, 왜 8.8%가 도출됐을까. 필요경비를 인정해 주기 때문이다. 전체 소득의 60%를 비용처리할 수 있다. 나머지 60%를 비용처리 하고, 남은 40%에 기본세율 22%를 적용하는 셈이다. 즉, 40%의 22%인 셈이니 8.8%가 된다(40% X 20% = 8.8%). 결국 소득의 40%에 22%가 반영되는 셈이라서, 기타소득의 기본세율.. 2024. 5. 5.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신고 차이점 이해하기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에 대해 아주 기본부터 기록한다. 연말정산은 뭔지, 또 종합소득세는 뭔지. 그리고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기록했다. 추가적으로 왜 환급을 받거나, 혹은 추가로 세금을 더 납부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지까지, 그 원인이 되는 공제의 개념에 대해서도 함께 기록했다. 연말정산이란 무엇인가? 환급 및 추가 납부가 발생하는 이유 : 공제 우선 결론부터 말하면, '연말정산'에서의 '정산'은 '세금'을 정산한다는 뜻이다. 정산해야 할 세금이 있다는 것 자체가, 이미 우리가 세금을 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제 냈을까. 일반적으로 우리는 직장생활을 한다. 회사를 다니고, 일을 한다. 일을 한 대가로 월급을 받는다. 그리고 돈을 번 대가(?)로 국가에 세금을 낸다. 우리가 받는 월급명세서를 들여다보.. 2024. 5. 1.
소득공제 세액공제 차이(연말정산, 종합소득세 신고 시 이해해야할 개념)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에 대해 알아보다보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만나게 된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란 무엇인지 기록해 보았다. 우선 국어사전 속 공제의 뜻을 보면,  받을 몫에서 일정한 금액이나 수량을 뺌.  이라고 확인할 수 있다. 그러니 우선 공제의 뜻을 가볍게, '빼주는 것, 줄여주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결국 공제(소득공제, 세액공제)는 모두 세금을 줄여주기 위한 의도로 생긴 제도다. 그럼 어떤 차이가 있을까. 우선 각각에 대해 알아보면, 두 공제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세금 계산 과정 중 언제 공제를 해주는지, 공제 시점에 따라 소득공제와 세액공제가 나뉜다. 먼저 소득공제에 대해 알아보자. 두 가지 공제에 대해 이해하려면, 최종적으로 납부해야할 세금이 도출되는 과정을 살펴봐야 한다... 2024. 5.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