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을 것들

세금 3.3% 와 8.8% 차이점 (사업소득 기타소득 세율)

by ∝∞∀∃⅞Θ 2024. 5. 5.
반응형

소득세에 대해 알아가다 보니, 자연스레 3.3%와 8.8%를 만나게 됐다. 기타 소득사업소득의 세율이다. 숫자만 보면 차이가 상당히 나기에, 더 깊이 알고 싶다.

 

먼저, 기타소득부터 알아보자.

 

기타소득 세율 8.8% (feat. 22%)

반응형

 

기타소득의 기본세율 = 소득세 20% + 지방소득세2%(소득세의 10% 이므로 2%) = 22% 다. 기타소득의 기본세율이 22%인데, 왜 8.8%가 도출됐을까.

 

필요경비를 인정해 주기 때문이다. 전체 소득의 60%를 비용처리할 수 있다. 나머지 60%를 비용처리 하고, 남은 40%에 기본세율 22%를 적용하는 셈이다.

 

즉, 40%의 22%인 셈이니 8.8%가 된다(40% X 20% = 8.8%). 결국 소득의 40%에 22%가 반영되는 셈이라서, 기타소득의 기본세율은 8.8%다. 기타소득세 8.8%는 결국 필요경비가 적용된 수치라고 보면 된다.

 

만약, 내가 기타소득으로 분류 가능한 2000만 원을 벌었으면, 2000만 원의 40%인 800만원만 세율의 적용을 받는다. 그럼 800만원 X 22% = 176만원이 대상금액이 된다. 이때 원래 소득이었던 2000만원을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결국 2000만원의 8.8%가 176만 원(2000만 원 X 8.8% = 176만 원)이므로, 기타 소득의 세율을 8.8%라고 인식하는 것이다.

 

결국 원래대로라면, 기타소득의 세율은 22%지만, 이런 과정이 귀찮기에, 편의상 기타소득의 세율을 8.8%라고 하는 것이다.

 

 

사업소득 세율 3.3%

 

사업소득의 경우 = 소득세 3% + 지방소득세 0.3%(소득세의 10% 이므로 0.3%) = 3.3% 다. 사업소득의 기본세율은 3.3%인 셈이다.

 

위에서 기타 소득세를 도출할 때, 40%의 필요경비를 인정해 줬었는데, 사업소득의 경우도 필요경비를 인정받을 수 있다. 다만, 장부 및 증빙서류를 통해 지출 사실을 증빙해야만 한다. 증빙 여부에 따라서 필요경비를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다.

 


세금관련 내용들을 공부하다보니 여기까지 흘러와 버렸다. 세금의 세계는 참으로 넓다.

 

 

 

퇴사자 연말정산(이직자)과 종합소득세 신고(중토퇴사자)

작년에 퇴사를 했다. 그리고 해가 바뀌었다. 현재 나는 중도퇴사자다. 이제 5월을 향해가는 시점에서, 연말정산을 해줄 회사가 없으니,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한다. 반면 퇴사 후 바로 재

write-down1.tistory.com

 

 

국세와 지방세의 차이 (세금의 종류 및 기초 정보 알아보기)

세금에 대해 공부하는 첫 단계로 세금의 종류와 기초 정보 및 국세와 지방세의 차이에 대해 기록해 본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인생을 살면서 반드시 해야 할 것들이 있다. 무조건 해야만 하는

write-down1.tistory.com

 

 

소득공제 세액공제 차이(연말정산, 종합소득세 신고 시 이해해야할 개념)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에 대해 알아보다보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만나게 된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란 무엇인지 기록해 보았다. 우선 국어사전 속 공제의 뜻을 보면,  받을 몫에서 일정

write-down1.tistory.com

 

 

* 해당글은 참고용으로 써주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